Visual Studio Code(VS Code)는 강력한 기능과 뛰어난 확장성 덕분에 수많은 파이썬 개발자에게 사랑받는 코드 에디터입니다. 파이썬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단순히 전체 코드를 한 번에 실행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많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복잡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거나, 혹은 코드의 동작을 단계별로 확인하며 버그를 잡고 싶을 때, 코드를 '한 줄씩' 또는 '특정 블록만' 실행하는 능력은 개발 생산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VS Code에서 파이썬 코드를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다양한 방법을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합니다.
사전 준비 사항: 완벽한 실습 환경 구축하기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원활한 실습을 위해 다음 환경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
- Visual Studio Code 설치: 당연히 VS Code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파이썬(Python) 설치: 시스템에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파이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설치하세요. 설치 시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체크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 VS Code 파이썬 확장(Extension) 설치: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VS Code에서 파이썬의 모든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공식 파이썬 확장을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 VS Code 좌측의 확장(Extensions) 탭(네모 블록 아이콘)을 엽니다.
- 검색창에
Python
을 입력합니다. - Microsoft에서 제작한 확장을 찾아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이제 시작해 봅시다!
1. 기본기: 스크립트 전체 실행하기
부분 실행을 배우기 전에, 스크립트 전체를 실행하는 기본적인 방법들을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이미 익숙하시다면 다음 섹션으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간단한 예제 파일을 하나 만들어 보겠습니다. my_script.py
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 코드를 붙여넣으세요.
# my_script.py
def greet(name):
"""주어진 이름에 인사하는 함수"""
message = f"안녕하세요, {name}님! 반갑습니다."
return message
def calculate_sum(n):
"""1부터 n까지의 합을 계산하는 함수"""
total = sum(range(1, n + 1))
return total
# 함수 실행
greeting_message = greet("나홀로코더")
total_sum = calculate_sum(10)
print(greeting_message)
print(f"1부터 10까지의 합은 {total_sum}입니다.")
방법 1: 'Run Python File' 버튼 클릭
- VS Code 에디터 창의 우측 상단을 보면 세모 모양의 실행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열려있는 파이썬 파일(
my_script.py
)이 터미널에서 실행됩니다. 가장 직관적이고 빠른 방법입니다.
방법 2: 마우스 우클릭 메뉴 사용
- 에디터의 코드 영역 아무 곳에서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나타나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Run Python File in Terminal
을 선택합니다. - 또는, 좌측의 파일 탐색기(Explorer)에서
my_script.py
파일을 우클릭하여 동일한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방법 3: 터미널에서 직접 명령어 입력
Ctrl
+`
(백틱) 단축키를 눌러 VS Code 내장 터미널을 엽니다.- 터미널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직접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python my_script.py
위 세 가지 방법 모두 아래와 같은 동일한 결과를 터미널에 출력합니다.
안녕하세요, 나홀로코더님! 반갑습니다.
1부터 10까지의 합은 10입니다.
2. 핵심: 코드 한 줄씩, 원하는 만큼만 실행하기
이제 이 글의 핵심 주제인 '코드 부분 실행'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방법 1: Shift + Enter
로 대화형 터미널(REPL) 활용하기
이 방법은 데이터 분석가나 머신러닝 엔지니어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고 그 결과를 즉시 확인하며 탐색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실행 원리
Shift + Enter
를 누르면 VS Code는 현재 선택된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대화형 터미널(Interactive Terminal 또는 REPL: Read-Eval-Print Loop)을 실행합니다. 파이썬을 설치하고 명령 프롬프트에서 python
을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
프롬프트가 바로 이 REPL 환경입니다.
사용 방법
my_script.py
파일을 엽니다.- 실행하고 싶은 코드 라인에 커서를 놓습니다. 예를 들어,
greeting_message = greet("나홀로코더")
라인에 커서를 두고Shift + Enter
를 누릅니다. - 터미널 창이 열리면서 해당 라인이
>>>
프롬프트 옆에 입력되고 즉시 실행됩니다. - 아무런 출력이 없지만,
greeting_message
라는 변수가 메모리에 생성되었습니다. - 이제
print(greeting_message)
라인에 커서를 두고 다시Shift + Enter
를 눌러보세요. 터미널에 결과가 출력됩니다.
여러 줄 실행하기
- 함수 정의 부분(
def greet(name):
부터return message
까지)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블록으로 선택합니다. - 그 상태에서
Shift + Enter
를 누르면 선택된 블록 전체가 하나의 단위로 실행됩니다.
전문가 팁: 대화형 터미널에서 화살표 위(↑)/아래(↓) 키를 누르면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들을 다시 불러와 재사용하거나 수정하여 실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방법 2: VS Code Interactive Window (주피터 노트북 스타일)
Shift + Enter
가 터미널을 활용한다면, Interactive Window는 마치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처럼 코드와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깔끔하게 분리하여 보여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실행 원리
파이썬 스크립트 파일(.py
)에 # %%
라는 특별한 주석을 추가하면, VS Code는 이 주석을 기준으로 코드를 '셀(Cell)' 단위로 인식합니다. 각 셀은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my_script.py
파일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
를 추가하여 코드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보세요.# %% # 첫 번째 셀: 함수 정의 def greet(name): """주어진 이름에 인사하는 함수""" message = f"안녕하세요, {name}님! 반갑습니다." return message def calculate_sum(n): """1부터 n까지의 합을 계산하는 함수""" total = sum(range(1, n + 1)) return total # %% # 두 번째 셀: 함수 실행 및 결과 확인 greeting_message = greet("VS Code 사용자") total_sum = calculate_sum(100) print(greeting_message) print(f"1부터 100까지의 합은 {total_sum}입니다.") # %% # 세 번째 셀: 데이터 시각화 (예시) # matplotlib 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 pip install matplotlib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 = list(range(1, 11)) y = [i**2 for i in x] plt.plot(x, y) plt.title("Square Numbers") plt.show()
- 이제
# %%
주석 위를 보면Run Cell
,Debug Cell
같은 옵션이 나타납니다. - 첫 번째 셀 안에 커서를 두고
Run Cell
을 클릭하거나 단축키를 사용해 보세요.Ctrl + Enter
: 현재 셀을 실행하고 커서는 그대로 유지합니다.Shift + Enter
: 현재 셀을 실행하고 다음 셀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주피터 노트북과 동일)
- 실행하면, 별도의 'Interactive' 창이 열리면서 코드 셀과 그 실행 결과(텍스트 출력, 표, 그래프 등)가 분리되어 깔끔하게 표시됩니다. 특히
matplotlib
등으로 생성된 그래프를 코드와 함께 인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 분석 작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방법 3: 궁극의 방법, 디버거(Debugger) 활용하기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는 가장 정교하고 강력한 방법은 VS Code의 내장 디버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디버거는 단순히 코드를 실행하는 것을 넘어, 각 단계에서 변수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함수의 호출 스택은 어떤지 등 프로그램의 내부 상태를 속속들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줍니다.
사용 방법
- 중단점(Breakpoint) 설정: 코드 실행을 잠시 멈추고 싶은 라인의 번호 왼편을 클릭하여 빨간 점(중단점)을 만듭니다.
greeting_message = greet("나홀로코더")
라인에 중단점을 설정해 보세요. - 디버깅 시작:
F5
키를 누르거나, 좌측의 'Run and Debug' 탭(벌레 모양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Run and Debug' 버튼을 클릭합니다. - 코드 실행 제어:
- 코드가 실행되다가 설정해둔 중단점에서 멈춥니다.
- 화면 상단에 디버깅 제어 도구 모음이 나타납니다.
- Continue (
F5
): 다음 중단점까지 계속 실행합니다. - Step Over (
F10
): 현재 라인을 실행하고 다음 라인으로 넘어갑니다. (함수 안으로 들어가지 않음) - Step Into (
F11
): 현재 라인에 함수 호출이 있다면 그 함수 안으로 들어갑니다. - Step Out (
Shift + F11
): 현재 함수를 빠져나와 함수를 호출했던 곳으로 돌아갑니다. - Restart (
Ctrl + Shift + F5
): 디버깅 세션을 다시 시작합니다. - Stop (
Shift + F5
): 디버깅을 종료합니다.
- Continue (
- 상태 확인: 디버깅이 멈춘 상태에서 좌측의 'VARIABLES' 창을 보세요. 현재까지 선언된 모든 변수와 그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F10
을 눌러 한 줄씩 실행하면서 변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해 보세요.
3. 상황별 최적의 실행 방법 추천
지금까지 여러 방법을 배웠습니다. 어떤 상황에 어떤 방법을 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상황 | 추천 방법 | 이유 |
---|---|---|
빠른 코드 조각 테스트 | Shift + Enter |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코드 스니펫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탐색 및 분석 | Interactive Window (# %% ) |
코드, 결과, 시각화를 한눈에 볼 수 있어 Jupyter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
복잡한 로직 및 버그 추적 | 디버거 (F5 ) |
변수 상태, 호출 스택 등 프로그램 내부를 정밀하게 추적해야 할 때 필수적입니다. |
.py 스크립트 작성 중 중간 점검 | Shift + Enter 또는 Interactive Window |
전체를 실행하지 않고도 작성 중인 함수의 동작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VS Code에서 파이썬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코드를 더 깊이 이해하고 버그를 더 빨리 해결하며, 궁극적으로 개발의 즐거움을 더하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처음에는 Shift + Enter
로 가볍게 시작하고, 점차 Interactive Window의 편리함에 익숙해지세요. 그리고 복잡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는 주저하지 말고 디버거를 활용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여러분의 파이썬 개발 능력은 한 차원 더 성장할 것입니다.
이 글은 아래 글을 바탕으로 GEMINI를 이용해 재작성한 것입니다.
비주얼스튜디오코드(VS Code)에서 파이썬(Python) 코드를 한줄씩 실행하는 방법
비주얼스튜디오코드(VS Code)에서 파이썬(Python) 코드를 한줄씩 실행하는 방법
서론 ※ 시간이 없을 경우 본론으로! VS Code에서 파이썬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다양하다.(서론에서는 전체 스크립트 실행 방법부터 설명한다.) 첫째, 파이썬 스크립트를 열어 둔 상태에서
codealone.tistory.com
'GEMIN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의 개발 환경을 USB에 통째로! 리눅스 민트 부팅 USB 만들기 (A to Z 가이드) (9) | 2025.07.31 |
---|---|
한글 매크로 A to Z: 반복 업무를 버튼 하나로 끝내는 비법 (7) | 2025.07.31 |
[완벽 가이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PC처럼 Git 사용하기 (Termux 활용) (3) | 2025.07.31 |
한글 완벽 정복: 전체 쪽수 표시부터 스타일 변경까지, 쪽 번호 마스터하기 (2) | 2025.07.31 |
내 윈도우 노트북(인텔 GPU)에서 AI와 대화하기: Ollama와 IPEX-LLM으로 로컬 LLM 완벽 가이드 (4) | 2025.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