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 외 컴퓨터 활용11

윈도우 노트북(인텔 GPU)으로 로컬 환경에서 LLM(llama, deepseek 등) 사용하기/Ollama, ipex-llm, Intel 목차1. 개요2. Ollama 설치 및 사용(기본적인 경로)3. 기본적인 경로를 통한 Ollama 사용 시 문제점4. IPEX-LLM을 활용(Intel GPU를 활용)하여 Ollama 사용하는 방법 1. 개요 오픈AI가 ChatGPT를 발표한 이래로 연일 AI가 화제이다. ChatGPT 외에도 Gemini, Claude, 그리고 최근 발표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는 Deepseek까지 많은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최신의 LLM을 사용하려면 고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하고, 따라서 예외 없이 클라우드 환경에서(인터넷 접속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업무와 관련되어 LLM을 활용하려 할 경우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 보안에 관한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 2025. 2. 3.
아래아한글 문서 편집 화면 나누는 방법(같은 문서를 양쪽으로 나란히 보기) 목차 1. 주제 소개 2. 문서 편집 화면 나누는 방법 1. 주제 소개 아래아한글 문서를 편집하다 보면 문서의 앞뒤를 오가며 편집을 하게 될 때가 잦다. 예를 들면 뒤에 있는 내용을 앞에서 요약한다든지, 별표로 붙인 자료의 내용을 인용한다든지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문서가 두세 쪽밖에 안되는 경우라면 마우스 휠을 이용하든, PageUp, PageDown 키를 이용하든, 크게 어려움이 없다. 그리고 문서의 쪽수가 많더라도 Alt + G 단축키를 눌러 "찾아가기"를 이용하면 특정 쪽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조금은 더 편하게 편집을 할 수 있다. 만약 그것만으로 부족하여, 문서의 앞쪽과 뒤쪽을 나란히 두고 편집을 하고 싶다면 아래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이용하자. 2. 문서 편집 화면 나누는 방법 아래아한글은 .. 2022. 1. 17.
아래아한글 실행시 빈 문서나 최근에 작업한 문서가 곧바로 열리게 하는 방법 목차 1. 주제 소개 2. 시작 설정하기 1. 주제 소개 아래아한글을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문서 시작 도우미라는 기능으로 다양한 문서의 서식을 보여주는데, 솔직히 말해서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빈 문서 상태로 문서 작성을 시작하려면 화면에 보이는 "새 문서"를 클릭하거나, Esc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리 복잡하지는 않지만 매번 누르려면 조금 번거롭기도 하다. 설정 변경을 통해 문서 시작 도우미를 안 나타나게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2. 시작 설정하기 아래아한글 실행시 어떤 화면이 나타나게 할 것인지는 환경설정에서 변경할 수가 있다. 리본메뉴의 "도구" 탭에 보면 "환경설정" 버튼이 있다. 버튼을 눌러보면 환경설정 창이 뜨는데, 처음에 뜨는 "편집" 탭의 아래쪽.. 2022. 1. 17.
아래아한글에서 법령명, 제목을 나타내는 낫표(「 」, 꺽쇠 표시)를 편하게 넣는 방법 낫표에 관한 소개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법령명이나 도서 등의 제목을 표시하기 위하여 꺽쇠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한글 맞춤법에 따른 것인데, 흔히 꺽쇠 표시라고 표현하지만 정식 명칭은 "낫표"이다. 따옴표를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로 구분하듯이 낫표도 겹낫표와 홑낫표로 구분한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낫표의 용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한글에서 낫표를 편하게 넣는 방법 문서 작성 중에 낫표를 넣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아마 대부분이 Ctrl + F10 키를 눌러 문자표 입력 창부터 띄울 것 같다. 한글 문자표의 전각 기호에 들어가 보면 겹낫표와 홑낫표가 있다. 그런데 한글 문자표에서 낫표를 넣게 되면, 우선은 그 과정이 불편할 뿐더러 아래와 같이 띄어쓰기를 한 것처럼 보여 보기에 좋지가 않다.. 2022. 1. 9.
아래아한글 문서의 버전(문서 이력)을 편하게 관리하는 방법 주제 소개 회사에서 아래아한글로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초안부터 시작해서 최종본까지 많은 버전을 만들게 된다. 이는 어딜 가나 마찬가지일 텐데, 끝없는 수정을 거칠 때마다 파일 제목을 조금씩 달리 해서 보고가 끝나고 나면 열 개가 넘는 파일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보고서_초안.hwp 보고서_ver2.hwp 보고서_ver3.hwp 보고서_ver4.hwp 보고서_ver5.hwp 보고서_최종.hwp 보고서_최최종.hwp 보고서_최종_진짜최종.hwp ... 이렇게 보고서 파일이 많이 남아 있으면, 본인은 어떤 게 진짜 최종인지 알겠지만 다른 사람은 최종 보고서가 어떤 것인지 알기가 어렵고, 찾기도 쉽지가 않다. 아래아한글은 간편하게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것이 별로 많이 알려져 있는 .. 2022. 1. 9.
아래아한글 문서에 암호 설정하기, 읽기 전용(배포용)으로 만들기 아래아한글로 문서를 작성하여 혼자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작성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검토가 필요하거나 혹은 작성이 다 된 문서를 배포하려는 경우 등 남에게 보내는 일이 더 많다. 그럴 때는 보안 상의 이유 또는 임의로 수정하는 것을 막으려는 등의 목적으로 문서에 암호를 설정하거나 편집이 불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문서 암호 설정하기 기본적인 암호 설정 방법 먼저, 기본적인 암호 설정 방법부터 소개한다. 너무나 간단하다. 한글 문서의 리본 메뉴 중 "보안" 탭을 눌러 보면 제일 앞에 "문서 암호 설정" 버튼이 있다. 버튼을 눌러보자. 그러면 암호 설정 창이 나온다. 사용하려는 암호를 두 번 입력한 뒤에 "설정"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문서 저장 시 자동으로 암호 설정 창을 띄우는 방법 .. 2022.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