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HWP)로 보고서나 논문, 긴 분량의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쪽 번호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단순히 현재 페이지만 표시하는 것을 넘어, '현재 쪽 / 전체 쪽' 형식으로 표시하거나, 밋밋한 기본 글꼴이 아닌 나만의 스타일로 쪽 번호를 꾸미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막상 시도해보면 생각처럼 간단하지 않아 당황하셨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 문서의 쪽 번호와 관련된 두 가지 핵심 기능을 완벽하게 마스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 전체 쪽수를 포함한 쪽 번호 넣기 (예: 5/20)
- 기본 쪽 번호의 글꼴, 크기, 색상 등 서식 변경하기
이 가이드만 따라오시면, 여러분도 이제부터는 쪽 번호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한글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1. 전체 쪽수를 포함한 쪽 번호 넣기 (feat. 꼬리말)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기능입니다. 문서의 전체 분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쪽 / 전체 쪽
형태로 쪽 번호를 넣는 방법이죠.
🤔 왜 '쪽 번호 매기기'로는 안 될까요?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시도하는 방법은 상단 메뉴의 [쪽] → [쪽 번호 매기기] 기능일 것입니다.
이 기능을 실행하면 번호의 위치(왼쪽, 가운데, 오른쪽 등)나 모양(아라비아 숫자, 로마자, 한자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옵션들을 아무리 살펴봐도 전체 쪽수를 함께 표시하는 기능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 기능은 오직 '현재 쪽 번호'만을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해결책: '꼬리말' 기능을 활용하세요!
전체 쪽수를 포함한 번호를 넣기 위해서는 꼬리말 기능을 활용해야 합니다. 꼬리말은 모든 페이지 하단에 동일한 내용을 반복해서 표시해주는 영역으로, 여기에 쪽 번호 관련 '필드 코드'를 삽입하는 원리입니다.
단계별 따라하기
- 꼬리말 만들기
- 상단 메뉴에서 [쪽] 탭을 클릭합니다.
- 리본 메뉴에서 [꼬리말] 아이콘을 찾아 클릭한 후, [꼬리말(양 쪽)]을 선택합니다.
- '꼬리말/머리말'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특별한 양식이 필요 없으므로 [모양 없음]을 선택하고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 '상용구'로 쪽 번호 삽입하기
- 꼬리말 영역이 활성화되면서, 화면 상단에 [머리말/꼬리말] 편집 탭이 나타납니다.
- 이 탭 메뉴 중에서 [상용구]를 클릭합니다.
-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나면 아래쪽에 있는 [현재 쪽 번호/전체 쪽수]를 선택합니다.
- 쪽 번호 확인 및 편집하기
- 위 단계를 마치면 꼬리말 영역에
1/10
과 같은 형태로 현재 쪽 번호와 전체 쪽수가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 이제 이 쪽 번호는 일반 텍스트처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 구분 기호 변경:
1/10
에서 슬래시(/)를 지우고 대시(-)나 다른 기호를 넣어- 1 -
와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 순서 변경: '전체 쪽수'가 먼저 나오게 하고 싶다면,
10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잘라내기(Ctrl+X) 한 후1
앞에 붙여넣기(Ctrl+V) 하여10 / 1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서식 변경: 글자 크기, 글꼴, 굵게, 기울임, 색상 변경 등 원하는 모든 서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정렬이나 오른쪽 정렬도 물론 가능합니다.
- 구분 기호 변경:
- 위 단계를 마치면 꼬리말 영역에
- 꼬리말 편집 끝내기
- 편집이 완료되면 [머리말/꼬리말] 탭의 오른쪽 끝에 있는 [닫기] 버튼을 누르거나, 단축키
Shift + Esc
를 눌러 편집 모드에서 빠져나옵니다. - 이제 문서의 모든 페이지에 내가 설정한 양식의 쪽 번호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편집이 완료되면 [머리말/꼬리말] 탭의 오른쪽 끝에 있는 [닫기] 버튼을 누르거나, 단축키
✨ 전문가 팁!
꼬리말에 삽입된 쪽 번호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필드 코드'라는 특수한 정보입니다. 페이지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마다 전체 쪽수와 현재 쪽수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문서 내용이 변경되어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쪽 번호 매기기'로 넣은 번호, 서식 변경하기 (feat. 스타일)
이번에는 [쪽] → [쪽 번호 매기기] 라는 기본 기능으로 쪽 번호를 넣었을 때, 이 번호의 글꼴이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 왜 드래그해서 바꿀 수 없을까요?
기본 기능으로 삽입된 쪽 번호는 꼬리말의 텍스트와는 다릅니다.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하려고 해도 블록 지정이 되지 않고, 일반적인 글자 서식 변경 방법이 통하지 않습니다. 이는 해당 쪽 번호가 문서 전체의 서식을 통제하는 '스타일' 기능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입니다.
💡 해결책: '스타일(F6)'에서 직접 수정하세요!
쪽 번호의 서식을 바꾸려면, '쪽 번호 스타일'의 정의 자체를 변경해야 합니다.
단계별 따라하기
- 스타일 창 열기 (3가지 방법)
가장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단축키F6
을 외워두시면 매우 편리합니다.- 단축키: 키보드에서
F6
키를 누릅니다. (가장 빠른 방법) - 마우스 우클릭: 문서의 본문 아무 곳에나 커서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뒤, 메뉴에서 [스타일(Y)]을 선택합니다.
- 상단 메뉴: [서식] 탭 → [스타일]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단축키: 키보드에서
- '쪽 번호' 스타일 찾아 편집하기
- '스타일' 창이 열리면 목록에서 '쪽 번호'를 찾아서 선택합니다.
- 하단에 있는 연필 모양의 [스타일 편집하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또는 '쪽 번호' 항목을 더블클릭해도 됩니다.)
- 글자 모양 변경하기
- '스타일 편집하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글자 모양]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익숙한 '글자 모양'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쪽 번호에 적용하고 싶은 글꼴, 크기(장평, 자간), 굵게/기울임 등의 속성, 글자 색상 등을 자유롭게 변경합니다.
-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 버튼을 눌러 '글자 모양' 창을 닫습니다.
- 최종 적용 및 확인
- '스타일 편집하기' 창으로 돌아오면, 다시 [설정] 버튼을 눌러 모든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 '스타일' 창을 닫으면, 문서의 모든 페이지에 있던 쪽 번호가 방금 설정한 새로운 스타일로 한꺼번에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한글 문서에서 쪽 번호를 다루는 두 가지 고급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용을 다시 한번 요약해 볼까요?
- '현재 쪽 / 전체 쪽' 형식의 번호가 필요할 땐? 👉 꼬리말 + 상용구 기능을 활용한다.
- 기본 '쪽 번호 매기기'로 넣은 번호의 글꼴/크기를 바꾸고 싶을 땐? 👉 스타일(F6) 창에서 '쪽 번호' 스타일을 직접 편집한다.
이 두 가지 방법만 확실히 알아두시면, 앞으로 어떤 형태의 문서 작업을 하더라도 쪽 번호 때문에 고민할 일은 없을 겁니다. 작은 디테일이 문서의 완성도를 결정합니다. 오늘 배운 기능들을 활용하여 더욱 깔끔하고 전문적인 문서를 만들어보세요
이 글은 아래 글을 바탕으로 GEMINI를 이용해 재작성한 것입니다.
한글 문서에 전체 쪽수를 포함한 쪽 번호 넣는 방법/쪽 번호 서식 변경하는 방법
한글 문서에 전체 쪽수를 포함한 쪽 번호 넣는 방법/쪽 번호 서식 변경하는 방법
목차 1. 전체 쪽수를 포함한 쪽 번호 넣는 방법 2. 쪽 번호 서식 변경하는 방법 한글 문서에 쪽 번호를 넣는 방법은 간단하다. 리본 메뉴 중 "쪽" 메뉴로 들어가, "쪽 번호 매기기"를 선택하면, 쪽
codealone.tistory.com
'GEMIN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 Code 완벽 가이드] 파이썬(Python) 코드, 한 줄씩 실행하며 스마트하게 개발하기 (3) | 2025.07.31 |
---|---|
[완벽 가이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PC처럼 Git 사용하기 (Termux 활용) (3) | 2025.07.31 |
내 윈도우 노트북(인텔 GPU)에서 AI와 대화하기: Ollama와 IPEX-LLM으로 로컬 LLM 완벽 가이드 (4) | 2025.07.31 |
아래아한글(HWP) 낫표(「」, 『』) 완벽 정복: 설정부터 사용법까지 (10) | 2025.07.31 |
📱 스마트폰으로 파이썬(Python) 코딩? Pydroid 3만 있으면 문제없어요! (안드로이드, 태블릿 완벽 가이드) (5) | 2025.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