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아한글(HWP) 낫표(「」, 『』) 완벽 정복: 설정부터 사용법까지
보고서, 논문, 기획안 등 전문적인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법령이나 규정, 도서나 예술 작품의 제목을 인용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가 바로 낫표(「 」, 『 』)입니다.많은 분들이 이 기호를 편의상 '꺽쇠'라고 부르지만, 정확한 명칭은 '낫표'이며 한글 맞춤법에 그 용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매번 문자표(Ctrl+F10)를 열어 입력하기에는 번거롭고, 때로는 불필요한 공백이 생겨 문서의 완성도를 떨어뜨리기도 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낫표의 정확한 사용법부터, 아래아한글에서 단 한 번의 설정으로 키보드에서 바로 낫표를 입력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까지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1. 낫표(「 」, 『 』), 정확히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낫표는 인용하는 내용의 성격에 따라..
2025.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