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코딩을 하다보면 일정한 포맷의 문자열에서 일부만 바꿔줘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면접 응시자들에게 문자로 면접 결과를 통보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하자.
아마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김나코)님의 면접 전형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귀하는 면접 전형에 (합격)하였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엑셀 파일 등에서 응시자의 이름과 시험 결과를 불러와 괄호 안에 대입하여 문자열을 만들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본론
파이썬에서의 문자열 포맷팅 방법을 세 가지 소개한다.
1. 문자열 연산으로 붙이기
아마 + 연산자를 이용해 문자열을 붙이는 방법이 파이썬 문법을 공부하지 않더라도 가장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쉬운 방법이 아닐까 싶다.
아래와 같이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 연산자를 이용해 더할 수가 있다. 별다른 설명이 필요해 보이지는 않는다.
![](https://blog.kakaocdn.net/dn/HIjwE/btrmbXuvh3S/FSAn6gd6wjyNeWyw67pJUk/img.jpg)
다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중간에 숫자가 들어가는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m3fVS/btrmecraCxr/WXShUoxVy5uOCcpSu09Dz0/img.jpg)
이 경우 str 함수를 이용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한 뒤에 더해주는 방법으로 오류를 막을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BK0Ir/btrmaM732OV/CO2E0KaXMRSQEX2W6Kf9t0/img.jpg)
2. f-string
문자열 포맷팅에 관해 알아보다 보면 가독성을 이유로 f-string 방식을 가장 많이 추천하는 것 같다.
f-string은 아래와 같이 따옴표 앞에 f를 붙여주고, 변수를 대입해 변화시킬 부분에는 중괄호를 넣고 괄호 안에 변수명을 넣는 방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y9MWB/btrmcMzvFDX/Msz33GZtBXHxNBFVha7NJ0/img.jpg)
앞서 소개한 방법과 달리 변수가 숫자인 경우에도 따로 변환해줄 필요가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btrTQM/btrmcMsJ4d8/JtgYgTMpJ46SK47B28VlY1/img.jpg)
3. format 함수
마지막 방법은 format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문자열 포맷 앞에 f를 붙이는 대신, 뒤에 .format()을 붙인다.
![](https://blog.kakaocdn.net/dn/ZDE00/btrl9PYJNA2/7ol5tBfTChLOkB2Is2or4K/img.jpg)
4. 표시 옵션 지정
한편, 문자열 포맷에 대입되는 변수별로 표시 옵션을 지정해줄 수가 있다. 설명은 생략하고 예시만 몇 개 소개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3jNOv/btrmeb6Rqkr/uR0vU2JA06bWsYBSwFZpQ1/img.jpg)
반응형
'코딩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서 pip install 오류날 때(SSLCertVerificationError) (0) | 2021.11.26 |
---|---|
파이썬에서 코드 한줄로 리스트(딕셔너리, 집합, 제너레이터) 만들기/리스트컴프리헨션, list comprehension (0) | 2021.11.26 |
스마트폰에서 주피터노트북(Jupyter notebook) 사용하는 방법/Pydroid 3, 태블릿, 안드로이드 (2) | 2021.11.18 |
스마트폰에서 파이썬(Python) 코딩하는 방법/Pydroid 3, 태블릿, 안드로이드 (4) | 2021.11.17 |
파이썬(Python) 속도를 100배, 1000배 빠르게 해주는 라이브러리(numba) (3) | 2021.11.15 |
댓글